-
2025년부터 시행되는 '노인 안검진 및 개안수술 지원사업(백내장수술비지원)'은 지 고령화 사회에서 시력 저하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 노인들을 위한 중요한 복지 정책입니다.
주의 사항:!!!
수술 전에 반드시 신청하여 승인을 받은 후 수술을 진행해야 합니다.
목차
노인안검진 개안수술(백내장포함 그외) 지원 대상 및 선정 기준
노인안검진 개안수술(백내장포함 그외) 무엇을 지원 하나?
노인안검진 개안수술 (백내장포함 그외) 신청 방법 및 절차는?
노인안검진 개안수술 지원 대상 및 선정 기준
1. 안검진 대상자
- 만 60세 이상 모든 노인이 대상이며, 특히 안과 접근성이 낮은 지역의 저소득층 노인이 우선 지원됩니다.
- 우선순위:
- 안과 전문의가 없는 읍·면·동 지역의 만 60세 이상 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
- 시·도지사가 안과 병·의원 접근도가 낮다고 인정한 지역의 만 60세 이상 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
- 최근 2년 이내에 노인 건강검진에서 안과 검진이 제외된 지역의 만 60세 이상 기초생활 수급권자
- 기타 시·도지사나 보건소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
2. 개안수술 지원 대상자(백내장수술,망막질환,녹내장등)
- 만 60세 이상으로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자:
-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수급자
- 차상위계층
- 한부모가족지원법에 따른 지원대상자
- 수술이 필요한 안질환자(백내장수술, 망막질환, 녹내장 등)로, 안과 전문의의 진단을 받은 자
- 의료급여 1종 수급자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노인안검진 개안수술 무엇을 지원 하나?
1. 안검진 서비스
- 검진 항목:
- 1차 진단: 정밀 안저검사 1종
- 2차 진단: 정밀 안저검사, 안압검사, 굴절검사 및 조절검사(안경 처방전 교부 포함), 각막 곡률검사 등 총 4종
- 지원 내용:
- 시력검사, 안약 처방 및 간단한 치료 제공
2. 개안수술비 지원
지원 금액
- 1안당 본인 부담금 전액 지원
- 백내장수술 등 그외 안질환 평균 약 24만 원, 망막질환 평균 약 105만 원 예상지원 범위:
- 백내장수술등 그외 안질환 전 검사비 1회(혈액·소변·심전도·눈초음파)
- 백내장수술비등 그외수술 및 수술 관련 재료비
- 아바스틴, 루센티스, 아일리아 주입술의 경우, 지원 대상자 선정 후 3개월 이내 사전 검사 1회, 주사 2회 지원
- 후발성백내장, 망막, 녹내장 등의 레이저 치료비
지원 제외 항목:
- 간병비, 상급병실료, 제증명료, 보호자 식대 등 비급여 항목
- 지원 대상자로 선정되기 이전에 발생한 의료비
- 통원진료비
- 특수렌즈(난시교정·다초점·조절성 인공수정체)
- 해당 질환과 관련 없는 검사, 치료 및 입원료 등
- 심장초음파 등 안과 이외의 검사비
- 신청 시 첨부한 진단서 및 소견서에 기재되지 않은 의료비
노인안검진 개안수술 (백내장 수술외)신청 방법 및 절차는?
1. 신청 절차
-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연중 수시로 신청 가능합니다
- 신청 방법:
- 방문 또는 우편 접수
- 구비 서류:
- 안 질환 의료지원 신청서 1부
-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제공 동의서 1부
- 수술할 병원의 안과 진단서 또는 진료 소견서(수술명 기재) 1부
- 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계층·한부모가족 증명서 1부
- 모든 서류는 최근 1개월 이내로 발급된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
2. 문의처
- 한국실명예방재단: 02-718-1102
- 보건복지상담센터: 129
- 보건복지부 노인실명예방관리사업 https://www.mohw.go.kr/menu.es?mid=a10712010300
노인 안검진 및 개안수술 지원사업은 저소득층 노인들의 시력 유지와 실명 예방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안질환의 조기 발견과 치료를 통해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, 의료비 부담을 경감할 수 있습니다. 자격 요건을 충족하는 분들은 가까운 보건소에 문의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'건강하게 살아가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갑상선 이상시 증상들과 갑상선이상 체크리스트 (0) 2025.05.12 노안 백내장 수술 총정리 (0) 2025.05.06 다이어트에 좋은음식 ! 중년의 다이어트 식단 총정리 (0) 2025.04.29 아연 부족하면 생기는 증상 7가지! 나도 모르게 아연 결핍? (0) 2025.04.28 머리 찌릿찌릿한 증상 ? 후두부 신경통 예방 실천하기 (0) 2025.04.25